상처 봉합 후 관리는 이렇게 합니다. 우리 첫째가 4살 때 TV장 모서리에 이마를 부딪쳐서 이마가 찢어진 경험이 있습니다. 아이는 울고, 피는 나고 어떻게 할지 몰라 당황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걱정마세요. 상처 봉합은 24시간 안에만 하면 되니까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은 후 봉합이 가능한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가면 됩니다. 더 큰 걱정은 봉합 후 상처관리죠? 오늘은 우리 아이 얼굴에 흉터 생기지 않도록 하는 똑똑한 상처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봉합한 상처 소독하는 방법 상처는 1-2일마다 한번 소독을 합니다. 상처가 많이 깊지 않고 혼자 할 수 있다면 집에서 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손에 잘 닿지 않고 깊은 상처이면 집 주위 가까운 병, 의원에서 소독을 받도록 합니다. ..
어지러움증상, 이유는 무엇일까? 살다 보면 어지러움증을 느끼는 일이 참으로 많습니다. 일시적이고 금방 괜찮아지면 좋지만 지속되고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어지럽다면 의료기관을 찾아서 진료를 봐야 합니다. 그런데 도대체가 무슨 과를 가야 하는지 알수가 없죠? 이번 글에서는 어지러움증 증상과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진료과도 알아보겠습니다. 어지러움의 이유 어지러움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나 피로, 혈당이 낮아졌거나 과호흡, 소화가 안될 때 등의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이는 대부분 지속적이지 않고 비특이적입니다. 이런 이유들을 제외하고 특이적인 증상과 함께 지속적인 어지러움이 계속된다면 크게 뇌의 문제와 귀의 문제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이나 뇌출혈, 뇌종양 등은 어지러움을 동반하는 가..
VRE균은 어떻게 관리할까? 6-7년 전에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세간이 떠들썩했었습니다. 바로 VRE균이죠. 병원 생활을 오래 하신 분들 중에 VRE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접촉으로 옮는다고 하는데 집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VRE균에 대해 알아보고, 집에서 관리하는 꿀팁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VRE균의 정의 우리 몸에는 상재균이 있습니다. 몸 곳곳에 균이 살고있다는 말이죠. 이 균들은 특별히 감염을 일으키지 않고 그렇게 우리와 공생하고 있습니다. 장알균(Enterococci)도 상재균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 우리 몸의 위장관이나 비뇨생식기 쪽에 조용히 살고 있는 균이죠. 이 장알균이 반코마이신이라는 강한 항생제에 저항이 생겨서 변행된 균이 바로 VRE..
두부외상 시 꼭 살펴야 할 변화는 무엇일까? 활동량이 많은 아이들은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어 조마조마하시죠? 눈 깜짝하는 사이에 놀다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머리를 부딪히는 일이 벌어집니다. 이렇게 머리를 부딪쳐 다칠 때의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게 된다면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 아이의 두부외상 시 꼭 살펴야 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부 외상 시 가장 먼저 할 일 가장 먼저 아이의 의식상태를 확인하고 상처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흔히는 가벼운 두부 외상을 뇌진탕이라고 합니다. 머리를 부딪히면 두개골 내의 뇌가 강하게 흔들리면서 두개골에 부딪히게 됩니다. 때문에 아이들이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을 수도 있고, 순간 기억상실이 발생하거나 두통, 구역, ..
산소포화도(SpO2)가 낮으면 어떤 위험이 있을까? 산소포화도는 혈액 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결합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한 값입니다. 이 수치는 내 몸에 산소가 충분한지, 호흡이 효율적으로 잘 되고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간단한 기계를 통해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우리 몸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므로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정상수치 및 산소포화도(SpO2)가 낮을 때의 위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소포화도가 낮음의 의미 수치가 지속적으로 낮다는 것은 혈액 내 산소가 적다는 것으로 저산소증을 의미합니다. 즉, 온몸의 주요 장기로 보내지는 산소의 양이 적다는 뜻입니다. 우리 몸 구석구석에 있는 세포들은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산..
내과에는 어떤과들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아나프네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플 때마다 '무슨과 진료를 봐야해?'라고 고민하시더라고요. 특히 내과의 경우는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어서 더욱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는 내과의 이름과 진료 영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f1 소화기내과 소화기 내과는 말 그대로 소화기쪽 담당과 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식도, 위, 소장, 대장, 췌장,간, 담망 등을 모두 아우르기 때문에 가장 넓은 영역입니다. 흔히 진료를 보는 위염이나 위궤양, 장염을 포함하여 간염, 간경화, 췌장염, 췌장암, 담낭염, 담낭암 등을 진료하죠. 그러니 위내시경을 했는데 위암 판정을 받으셨다 하면 우선 소화기내과로가서 1차 진료를 합니다. 그리고 수술이 필요하다하..